1. 수치 자료 표현
1) 팩 10진 (Packed Decimal)연산
= 4비트를 가지고 10진수 한 자리를 표현하며 10진수 2자리를 1Byte로 나타낸다.
= 오른쪽 4비트는 부호 비트로 사용된다.
= 남는 자리는 10진수 '0' 으로 채워진다
= 산술 연산이 가능하다.
2) 언팩 10진(Unpacked Decimal)연산
= 존 형식이라 부르기도 한다
= 하나의 수를 표현하기 위해 8비트가 필요하다
= 왼쪽 4비트는 부호 비트로 사용된다( 양수 : C , 음수 : D)
= 산술 연산 형식은 부적당하다.
= 남는 자리에는 'F0' 으로 채워진다.
3) 고정 소수점 표현
= 컴퓨터 시스템에서 양수와 음수의 정보를 나타낼 경우 최상의 비트를 부호 비트로 두어 결정
= 최상위 비트가 양수일 경우 0, 음수일 경우 1로 나타낸다.
= 연산 처리 속도가 빠르다.
2. 비수치적 자료 표현
1) BCD코드 (Binary Coded Decimal Code)
= 10진수 1자리를 4비트로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코드로서 '8421코드' 라고도 한다.
= 대표적인 가중치 코드로 2개의 존 Bit와 4개의 디지트 비트로 구성되어 64가지의 문자표현
2) EBCDIC코드(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)
= BCD 코드의 존 부분을 2비트 확장하여 표현한 개념이다.
= 현재 디지털 컴퓨터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며 8개의 비트에 1개의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하나
의 문자를 구성한다.
= 256 ( 2의 8승) 문자까지 표현할수 있다.
3) ASCII 코드(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)
= ASA 에서 만든 코드로 3개의 존 비트와 4개의 디지트 비트로 구성되었다
= 128 가지의 문자 표현이 가능하다.
=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1개의 패리티 비트가 추가된다.
= 데이터 통신 및 마이크로 컴퓨터 기종에서 사용되는 코드이다.
4) Gray 코드
= 1비트씩 변해가면서 다른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비가중치 코드로 연산작업은 부적당
= A/D 변환이나 입, 출력 장치 코드로 주로 사용된다.
= 연산은 각 비트에 대한 가중치가 없기 때문에 가중치가 있는 2진 코드로 변환하여 계산한다음
그레이 코드로 바꾸면 된다.
5) 3초과 코드 ( Excess -3 Code)
= 대표적인 비가중치 코드이면서 자기 보수 코드
= 8421 코드에서 연산의 합이 9 이상 되면 가산을 할수 없는 문제를 보완.
6) 2421 코드
= 각각의 비트에 고유한 값이 있는 가중치 코드이면서 자기 보수 성질을 가짐
= 비트의 가중치 값은 2. 4. 2. 1을 의미한다.
7) 패리티 비트(Parity Bit)
= 오류가 짝수개로 발생했을 경우 발견할수 없다.
= 오류 검출만 가능
= 패리티 발생기 :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의 오류 검출
= 패리티 검사기 : 전송된 정보의 오류 검출
8) 해밍 코드(Hamming Code)
= 오류를 검출하여 교정까지 가능하다.
9) 허프만 코드(Huffman Code)
= 문자의 사용 빈도수를 기준으로 하여 자료의 압축 기법에 사용되는 코드
= 빈번하게 사용되는 문자는 짧은길이, 적게 사용되는 문자는 큰 길이 코드로 표현
'Backend > OS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ptables-ssh 포트 설정하기! (0) | 2012.04.12 |
---|---|
ObjDump 사용하기 (0) | 2012.04.12 |
Shared Memory (공유 메모리) (0) | 2011.06.13 |
자바 공부 시작하고 처음으로 만들어본 앱~! (BMI 측정기 - 나는 뚱뚱한가?) (1) | 2011.06.08 |
Linux 시스템에서.. (0) | 2011.05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