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ackend/OS★

inode (index node)

petitCoding 2011. 5. 26. 11:41

 

* inode 란?

 

: 리눅스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객체, file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가진다)

   - 파일이 새로 생성되면 만들어짐(inode table에 하나 allocation, 삭제시 반납함)

   - internal representation of a file

   - 모든 파일은 각각 하나의 inode를 가진다

 

: 파일의 모든 정보를 관리

   - 파일에 속한 블록 위치

   - 파일의 소유자 및 접근 권한

   - 파일 시간 정보

   - 파일 유형

 

: Disk 에 정적으로 존재

 

* inode에서 디스크 블록 관리

 

   - single indirect block

     : index block을 가리킴, 이 인덱스 블록은 실제 데이터 블록을 가리키는 포인터들로 구성

 

   - double indirect block

     : 인덱스 블록이 2개의 레이어로 구성됨. 첫번째 인덱스 블록은 두번째 인덱스 블록을 가리키는

       포인터로, 두번째 인덱스 블록은 실제 데이터 블록을 가리키는 포인터로 구성

 

   - triple indirect block

     : 인덱스 블록이 3개의 레이어로 구성, 첫번째/두번째 인덱스 블록은 다른 인덱스 블록을 가리

       키는 포인터들로, 세번쨰 층의 인덱스 블록은 실제 데이터 블록을 가리키는 포인터들로 구성

 

*파일 속성

 

     : 파일 이름, 파일 유형, 파일 크기, 시간 정보, 파일 소유자, 접근 제어, 블록의 갯수, 엑세스 시

      간, 수정 시간, 변경시간, 데이터 블록들의 주소 목록.





'Backend > OS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trace / strace  (0) 2011.05.26
시그널 (Signal)  (0) 2011.05.26
Task Scheduling  (0) 2011.05.26
쓰레드 동기화 (Synchronization)  (0) 2011.05.26
Process 생성  (0) 2011.05.26